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주택관리사(보) 시험 준비 - 37일차

주택관리사

by 아파트정보제공자 2023. 11. 14. 11:14

본문

목차

    주택관리사(보) 시험 준비 - 37일차 : 2023년 11월 14일

    주택관리사(보) 시험 일정 과목 합격점수

    2019년 제22회 주택관리사보 시험 5개 과목, 각 1개 문항 기출문제와 풀이입니다.

     

    주택관리사(보) 시험 준비 - 37일차

    주택관리사(보) 시험 준비 - 37일차

    2019년 22회 주택관리사 1차 1교시 A형

    회계원리

    문제 37번. (주)한국은 단일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으며, 20×1년 공헌이익계산서는 다음과 같다. 

    제22회 주택관리사보 1차 1교시 A형 37번 문제 보기

    (주)한국은 현재 판매사원에게 지급하고 있는 ₩150,000의 고정급여를 20×2년부터 판매수량 단위당 ₩700을 지급하는 판매수당으로 대체하기로 하였다.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할 경우, (주)한국이 20×1년과 동일한 영업이익을 20×2년에도 달성하기 위해 판매해야 할 수량은?

     

    ① 450개     ② 500개     ③ 550개     ④ ₩600개     ⑤ 650개

     

    정답 : ② 번

     

    문제 풀이 

     

    판매수량계산 = 매출액 ÷ (매출액) 단위당 금액 = ₩2,000,000 ÷ ₩5,000 = 400단위

    판매사원에게 지급하는 고정비 ₩150,000을 변동비(판매수량 단위당) 판매수량에 ₩700으로 변경

    ∴ 고정비용에서 ₩150,000을 빼고 변동비 단위당 금액에 ₩700을 더한다. 

     

    20×1년의 영업이익과 동일하려면 계산식에서 20×2년 판매수량을 χ라 하면

    • 영업이익 = (단위당 금액 × X) - (변동비 단위당 금액 × X) - 고정비
    • ₩200,000 = (₩5,000 × X) - (₩3,700 × X) - ₩450,000
    • ₩1,300X = ₩650,000

    ∴ X = 500

    판매해야할 수량은 500개

       

    공동주택시설개론

    문제 77번. 엘리베이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교류 엘리베이터는 저속도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는 엘리베이터가 정격속도 이상일 경우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기회로를 차단시키고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기기이다.

     과부하 계전기는 전기적인 안전장치에 해당된다. 

     기어레스식 감속기는 직류 엘리베이터에 사용된다.

    옥내에 설치하는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바닥면적은 승강기 1대당 6㎡ 이상으로 해야 한다. 

     

    정답 : ② 번

     

    문제 풀이

     

    ① 교류 엘리베이터는 저속도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

     

    속도에 의한 분류

    구분 속도(m/min) 구동방식
    저속 15, 20, 30, 45 교류 1단, 교류 2단
    중속 60, 70, 90, 105 교류 2단, 직류 기어드
    고속 120, 150, 180, 210, 240, 300 직류 기어리스

     

    • VVVF(3VF제어,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
      • 인버터제어, 유동전동기에 가해지는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변환시켜 직류전동기와 동등한 제어성능을 가지도록 하는 방식
      • DC영역인 초고속 엘리베이터까지 적용이 가능하며, 유도전동기의 특성상 직류 전동기보다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소비전력이 절감된다. 
      • 귀환제어방식에 비하여 승차감 외에 소비전력 및 전원설비용량도 약 50% 정도 낮아진다.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는 엘리베이터가 정격속도 이상일 경우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기회로를 차단시키고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기기이다. (×)

    • 파이널 리미트스위치(final limit switch) : 엘리베이터가 리미트스위치를 지나쳐서 현저하게 초과 승강하는 경우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스위치

     과부하 계전기는 전기적인 안전장치에 해당된다. (○)

     

    기계적 안전장치

    • 비상정지장치 : 엘리베이터가 로프의 절단 및 기타 예측할 수 없는 원인으로 규정속도 이상(정격속도의 1.4배 이내)으로 카의 하강속도가 급격히 증가한 경우, 그 하강을 제지하는 장치
    • 조속기 : 카와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조속기 로프에 의하여 회전되어 항상 카의 속도를 검출하는 장치
    • 완충기 : 카가 어떤 원인으로 최하층을 통과하여 피트로 떨어졌을 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혹은 카를 밀어 올렸을 때를 대비하여 균형추의 바로 아래 설치
    • 승강장 문턱 보호판 
    • 도어인터록 : 카가 정지하지 않는 층의 도어는 전용 열쇠를 사용하지 않으면 열리지 않는 도어로크와, 도어가 닫혀 있지 않으면 운전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도어 스위치로 구성
    • 세이프티 슈 : 도어의 끝에 설치하여 이 물체가 접촉하면 도어의 닫힘을 중지하며 도어를 반전시키는 접촉식 보호장치
    • 더블브레이크 및 로프제동장치

    전기적 안전장치

    • 과부하 계전기
    • 과속제한스위치
    • 과전류 차단기
    • 중량초과제한스위치
    • 파이널 리미트스위치 : 엘리베이터가 리미트스위치를 지나쳐서 현저하게 초과 승강하는 경우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스위치
    • 비상전원장치
    • 역결상 안전센서
    • 비상구출전원장치
    • 도어스위치

     기어레스식 감속기는 직류 엘리베이터에 사용된다. (○)

     

    직류 엘리베이터 제어

    • 속도제어가 용이하고 승차감이 양호하여 주로 고급의 중·고속 엘리베이터에 적용
    •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방식에 따라 워드-레오나드방식과 정지형 레오나드방식이 있다. 
    • 속도 90m/min, 105m/min에는 기어드(geared)방식이, 120m/min 이상에는 기어레스(gearless)방식이 적용된다. 승차감과 속도제어가 요구되는 곳은 직류 기어레스방식이 적용된다. 

     옥내에 설치하는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바닥면적은 승강기 1대당 6㎡ 이상으로 해야 한다. (○)

    • 비상용 승강기와 피난용 승강기 모두 1대당 6㎡ 이상의 승강장 바닥면적을 확보해야 한다. 단, 옥외에 설치하는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은 예외.

     

    2019년 22회 주택관리사 1차 2교시 A형

    민법

    문제 37번. 乙은 사과나무를 식재하여 과수원을 운영할 목적으로 甲 소유의 X임야에 대해 甲과 존속기간을 10년으로 하는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였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차임지급시기에 대한 관습 또는 다른 약정이 없으면 乙은 甲에게 매월말에 차임을 지급하여야 한다.
    2. 산사태로 X임야가 일부 유실되어 복구가 필요한 경우, 乙은 甲에게 그 복구를 청구할 수 없다. 
    3. 甲이 X임야에 산사태 예방을 위해 필요한 옹벽설치공사를 하려는 경우, 乙은 과수원 운영을 이유로 이를 거부할 수 없다. 
    4. 乙이 X임야에 대하여 유익비를 지출하여 그 가액이 증가된 경우, 甲에게 임대차종료 전에도 그 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5. 임대차가 존속기간의 만료로 종료되는 경우, 乙이 식재한 사과나무들이 존재하는 때에도 乙은 甲에게 갱신을 청구할 수 없다.  

     

    정답 : 3 번

     

    문제 풀이

     

    1. 차임지급시기에 대한 관습 또는 다른 약정이 없으면 乙은 甲에게 매월말에 차임을 지급하여야 한다. (×)

     

    차임지급시기

    제633조 【차임지급의 시기】 차임은 동산, 건물이나 대지에 대하여는 매월 말에, 기타 토지에 대하여는 매년 말에 지급하여야 한다. 그러나 수확기에 있는 것에 대하여는 그 수확 후 지체 없이 지급하여야 한다. 
    • 乙은 사과나무를 식재하여 과수원을 운영할 목적이므로 차임지급시기에 대한 관습 또는 다른 약정이 없을 때에는 그 과실의 수확 후 지체 없이 차임을 지급하여야 한다. 

    2. 산사태로 X임야가 일부 유실되어 복구가 필요한 경우, 乙은 甲에게 그 복구를 청구할 수 없다. (×)

    3. 甲이 X임야에 산사태 예방을 위해 필요한 옹벽설치공사를 하려는 경우, 乙은 과수원 운영을 이유로 이를 거부할 수 없다. (○)

    4. 乙이 X임야에 대하여 유익비를 지출하여 그 가액이 증가된 경우, 甲에게 임대차종료 전에도 그 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  

     

    임대인의 의무 

    • 목적물인도의무(제623조) : 임대인은 임차인으로 하여금 목적물을 사용·수익하게 하기 위하여 목적물을 인도하여야 한다. 
    • 수선의무(임의규정) 
      • 적극적인 수선유지의무가 임대인에게 있으므로 임차인에게는 필요비상환청구권이 인정된다. 
      • 임대인이 임대물의 보존에 필요한 수선을 하고자 할 때에 임차인은 이를 거절하지 못한다. (3번) 그러나 임대인이 임차인의 의사에 반하여 보존행위를 하는 경우, 그로 인하여 임대차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을 때에는 임차인은 계약을 해지 할 수 있다. 
    • 방해제거의무 : 제3자에 의한 임차물의 사용·수익에 방해가 있는 경우 임대인은 이를 제거하여 줄 의무가 있다. (2번)
    • 비용상환의무(제척기간, 목적물의 반환을 받은 날로부터 6개월) - 임의규정
    제626조 【임차인의 상환청구권】 ① 임차인이 임차물의 보존에 관한 필요비를 지출한 때에는 임대인에 대하여 그 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② 임차인이 유익비를 지출한 경우에는 임대인은 임대차 종료시에 그 가액의 증가가 현존한 때에 한하여 임차인의 지출한 금액이나 그 증가액을 상환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법원은 임대인의 청구에 의하여 상당한 상환기간을 허여할 수 있다. 
    • 필요비(보존비용) : 발생시마다 지출액 전부를 상환
    • 유익비(개량비용) : 임대차 종료 시 현존이익의 범위 내에서 상환 (4번)

     

    5. 임대차가 존속기간의 만료로 종료되는 경우, 乙이 식재한 사과나무들이 존재하는 때에도 乙은 甲에게 갱신을 청구할 수 없다. (×)

     

    부속물매수청구권과 지상물매수청구권

    제646조 【임차인의 부속물매수청구권】 ① 건물 기타 공작물의 임차인이 그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임대인의 동의를 얻어 이에 부속한 물건이 있는 때에는 임대차의 종료시에 임대인에 대하여 그 부속물의 매수를 청구할 수 있다. 
    ② 임대인으로부터 매수한 부속물에 대하여도 전항과 같다. 
    제643조 【임차인의 갱신청구권·매수청구권 건물 기타 공작물의 소유 또는 식목, 채염, 목축을 목적으로 한 토지임대차의 기간이 만료한 경우에 건물, 수목 기타 지상시설이 현존한 때에는 제283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5번)
    제283조 【지상권자의 갱신청구권·매수청구권】 ① 지상권이 소멸한 경우에 건물 기타 공작물이나 수목이 현존한 때에는 지상권자는 계약의 갱신을 청구할 수 있다. 
    ② 지상권설정자가 계약의 갱신을 원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지상권자는 상당한 가액으로 전항의 공작물이나 수목의 매수를 청구할 수 있다. 

     

    2019년 22회 주택관리사 2차 A형

    공동주택관리실무(객관식)

    문제 37번.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배수배관의 통기방식은?

    제22회 주택관리사보 2차 A형 37번 문제 보기

    1. 각개통기 방식
    2. 결합통기 방식
    3. 루프통기 방식
    4. 신정통기 방식
    5. 섹스티아 방식

     

    정답 : 1 번

     

    문제 풀이

     

    통기방식에 대한 설명은 "주택관리사(보) 시험 준비 - 27일차"에서 설명되어 있습니다. [바로가기]

    위 방식은 각개통기방식의 설명입니다. 

     

    특수통기방식

    섹스티아 방식

    • 통기부속에 선회력을 줌으로서 통기 홀을 만들며 통기를 시킴
    • 공기홀을 유지되도록 하여 공기를 통하게 하는 효과로 소음을 절감하는 효과

    소벤트 방식

    • 수 수직관에 공기를 주입하면서 물이 낙하할 때 공기가 완충역할과 통기역할을 하도록 한다. 
    • 개별 횡주관이 수직관과 만날 때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혼합 이음쇠로 연결하고, 말단 횡주관 부분에는 공기분리 이음쇠를 통해 공기를 빼면서 쉽게 배수하도록 한다. 

     

    공동주택관리실무(주관식)

    문제 77번.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중 기계설비 부문에 관한 용어의 정의이다. 기준에서 명시하고 있는 (     )에 들어갈 용어를 쓰시오. 

    제22회 주택관리사보 2차 A형 77번 문제 보기

     

    정답 : 열회수형

     

    문제 풀이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5조 (용어의 정의) 中

    기계설비부문

    • 위험률 : 냉(난)방기간 동안 또는 연간 총시간에 대한 온도출현분포중에서 가장 높은(낮은) 온도쪽으로부터 총시간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온도를 제외시키는 비율을 말한다.
    • 효율 : 설비기기에 공급된 에너지에 대하여 출력된 유효에너지의 비를 말한다.
    • 열원설비 :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설비를 말한다.
    • 대수분할운전 : 기기를 여러 대 설치하여 부하상태에 따라 최적 운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기를 조합하여 운전하는 방식을 말한다.
    • 비례제어운전 : 기기의 출력값과 목표값의 편차에 비례하여 입력량을 조절하여 최적운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운전하는 방식을 말한다.
    • 심야전기를 이용한 축열ㆍ축냉시스템 : 심야시간에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저장하였다가 이를 난방, 온수, 냉방 등의 용도로 이용하는 설비로서 한국전력공사에서 심야전력기기로 인정한 것을 말한다.
    • 열회수형환기장치 : 난방 또는 냉방을 하는 장소의 환기장치로 실내의 공기를 배출할 때 급기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구조를 가진 것으로서 KS B 6879(열회수형 환기 장치) 부속서 B에서 정하는 시험방법에 따른 열교환효율과 에너지계수의 최소 기준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을 말한다.
    • 이코노마이저시스템 : 중간기 또는 동계에 발생하는 냉방부하를 실내 엔탈피 보다 낮은 도입 외기에 의하여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시스템을 말한다.
    • 중앙집중식 냉ㆍ난방설비 : 건축물의 전부 또는 냉난방 면적의 60% 이상을 냉방 또는 난방함에 있어 해당 공간에 순환펌프, 증기난방설비 등을 이용하여 열원 등을 공급하는 설비를 말한다. 단,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에서 정한 가정용 가스보일러는 개별 난방설비로 간주한다.
    • TAB : Testing(시험), Adjusting(조정), Balancing(평가)의 약어로 건물내의 모든 설비시스템이 설계에서 의도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점검 및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 커미셔닝 : 효율적인 건축 기계설비 시스템의 성능 확보를 위해 설계 단계부터 공사완료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건축주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모든 시스템의 계획, 설계, 시공, 성능시험 등을 확인하고 최종 유지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입주 후 건축주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운전성능 유지 여부를 검증하고 문서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관련글 더보기